![사진제공=클레이튼. [반응이 센 CBC뉴스ㅣCBCNEWS]](/news/photo/202208/431293_236924_636.jpg)
[CBC뉴스] 클레이튼이 블록체인 리서치 센터(이하 BRC)의 첫 번째 연구팀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싱가포르국립대(NUS) 등으로 구성된 연구진을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한다고 11일 밝혀 눈길을 끈다.
이번 연구팀은 블록체인 분야에서 저명한 연구(CAP이론,Zcash,HoneyBadgerBFT 등)들의 선구자적 역할을 해 온 연구진들로 구성됐다.
이번 BRC 프로그램에 참여해 글로벌 연구 컨소시엄으로서 연구를 함께 이끌어 나간다. 팀의 리더는 풍부한 블록체인 연구 경험을 보유한 KAIST 전산학부의 강민석, 싱가포르국립대 컴퓨터과학과의 프라틱 삭세나 조교수가 맡는다고 한다.
함께 하는 연구 컨소시움에는 연세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프린스턴 대학교, 조지아 공과대학, 노던 아리조나 대학, 카네기멜론 대학의 저명한 블록체인 분야 연구원들이 참여한다.
이 컨소시움은 BRC에서 연구수행과 블록체인 커뮤니티 활동을 같이 한다. 이번 프로젝트 수행 연구 결과는 논문이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형태로 모두에게 공개될 예정이며, 외부 연구자들도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연구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다고 한다.
BRC는 블록체인 산업의 성장과 생태계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연구 기관으로서,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위한 첨단 연구 발전을 목표로 한다. 클레이튼은 올 4월 BRC 프로그램을 위해 2천만 달러의 기금을 출범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전 세계 블록체인 연구 기금 중 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다. 클레이튼은 이 기금을 바탕으로 향후 4년간 클레이튼과 블록체인의 발전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하며, 프로젝트 연구 결과나 정보를 컨퍼런스 및 워크샵을 통해 수시로 공유해 블록체인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라고 한다.
BRC 프로그램의 첫 연구팀으로 선정된 KAIST와 싱가포르국립대는 클레이튼 거버넌스 의회와 외부 전문가들의 엄격한 3차 심사 과정을 거쳐 선발됐다.
싱가포르국립대의 프라틱 삭세나 교수는 “BRC는 블록체인 설계와 응용 분야의 최첨단 연구 발전을 위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클레이튼과 함께 영향력 있는 연구를 위한 하나의 플랫폼을 만들고, 새로운 글로벌 담론을 발전시키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KAIST 강민석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지식 교류가 핵심이다”며, “BRC를 통해 전 세계 블록체인 연구진 및 관계자들과의 산업 협력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상민 클레이튼 재단 이사장은 “웹 2.0과 웹 3.0의 가교 역할을 하겠다는 클레이튼의 비전에 따라, 디파이(DeFi)나 메타버스가 실제 세상에 안착할 수 있도록 연구 커뮤니티와 블록체인 선도 업계 간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또 “이번 기회를 통해 블록체인 발전에 대한 담론이 대중화되길 바라고, BRC 프로그램을 통해 클레이튼의 비전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BRC의 자세한 사항들은 KIR 포럼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한번에 끝 - 단박제보
▶비디오 글로 만드는 '비글톡'
CBC뉴스ㅣCBCNEWS 심우일 기자 press@cbc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