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6월과 12월이 되면 국세청에는 명예퇴직 바람이 분다.
사무관 이하 직원은 정년퇴직 기한 60세까지 채워도 되기 때문에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명예퇴직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4급 서기관급 이상 공개채용자나 세무대학 출신 특별채용자는 국세청에서 2년 조기 명예퇴직 전통에 따라 퇴직을 하는 경우가 많다. 58세에 퇴직하면서 여러 후배에게 승진기회를 준다는 명분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이번은 혹시 연장될까?'라는 마음을 가진 이들이 더러 있을 것이다. 그 아쉬움은 퇴직 준비를 일찍 하면서 미리 심적 충격을 대비하는 자세가 현명할 것이다.
3급 이상 고위공무원을 보면 아쉬움이 덜할 수 있겠다. 고위공무원이 되면 앞길을 예측하기가 더욱 힘들다. 특히 1급 이상은 정치적 영향을 받을 때가 많다. 행정고시 출신의 경우 기수 안배, 출신 지역, 출신 학교와 심지어 상부의 정치 성향에 따라 수십 년간 근무한 국세청을 감정조차 마무리 못 하고 허탈하게 떠나기도 한다.
그런 안타까운 모습을 옆에서 지켜볼 때 필자와 같이 세무대학 8급 특채로 출발한 것이 오히려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보통 지방청장 이상 고위직은 한정된 자리이기에 이미 인사 명령을 받을 때 즉시 사표 수리가 가능한 '날짜 빠진 사직서'를 내놓고 부임한다고 한다.
그래도 수시로 바뀌는 정치적 환경 때문에 상반기는 6월 초부터 6월 중순까지, 하반기는 12월 초부터 12월 중순까지 유임이냐 명예퇴직이냐 갈림길에 선다. 본인에게 답답할 노릇이지만 초초해 하는 것이 감춰지지 않으면 직원들이 좌불안석일 정도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번 6월 말 국세청에서는 명퇴 시즌에 맞춰 서대원 국세청 차장, 김희철 서울지방국세청장, 김한년 부산지방국세청장이 국세청을 떠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교롭게 두 분과 직접 같이 근무해보고 한 분은 인연 때문에 오랜 기간 알고 지냈지만 모두 공사가 분명하고 직원에게 존경받는 흠 잡을 곳 없는 정통 '국세맨'이다.

이러한 국세맨이 명예퇴직한다면 꼭 따라오는 것이 행정고시 기수 '속도조절론'이다. 현재 국세청 차기 1급 행정고시 출신 후보자로 물망에 오른 이들이 50대 초반이므로 한두 해는 기존 간부가 유임하는 것이 좋겠다는 소문이 돌기도 한다.
그렇지만 과거 모 국세청장이 동기와 국세청 위기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해 회전문식으로 잠깐 유임시킨 예외가 있었다. 이 세 분의 성향을 보면 그런 소문에 얽매일 이들도 아니고 강물은 싫든 좋든 결국 바다로 흘러가듯이 결국은 떠나게 될 것이다.
필자가 현직에 있을 때 가장 안타까운 것은 고위직 대부분은 마음의 준비를 하지만 한두 분은 끝까지 마음의 준비를 하지 못하다가 떠날 때 자의보다 타의라는 이야기를 할 때다.
그런 경우 명예퇴임식장에서 퇴임사를 통해 멋지게 살았다는 말보다 아쉬운 감정을 토로하고 직원과 맥없이 악수하는 손길에서 공직자로 아름다운 퇴장이 아니라는 여운을 많이 남긴다.
텅 빌 것 같은 자리는 금방 채워진다. 안 돌아갈 것 같은 국세행정은 전 직원의 역량과 노력으로 끊임없이 잘 돌아간다. 결국 국세청은 한두 명의 역할이 아닌 조직으로 움직이는 기관이다.
그래도 마지막 1년을 마음속 깊이 감춰둔 국세행정의 혁신을 제대로 꽃피우지 못하고 조마조마하게 지내다 6월 중순, 12월 중순 최종 퇴직 결정이 주변에 알려지면서 남모르게 하나씩 사물을 정리하는 모습이 지켜보는 직원 입장에서 너무나 안타깝다.
고위직의 조기 명예퇴직은 정말 용기 있는 것일까? 정말 명예로운 것일까? 아니면 아쉽게 밀려나는 것일까? 답은 없다고 생각이 든다. 결국 모두 당사자의 생각하기 나름일 것이다.
‘이 세상에 영원한 내 것은 없다’라는 말처럼 항상 주어진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여 근무한다면 미련도 후회도 없을 것이다.
이번에 명예퇴직을 선택하셨다는 국세맨 세 분은 이제 모든 것을 내려놓고 홀가분하게 새롭게 제2의 인생을 출발하시길 기원한다.
<박영범의 알세달세> 현 YB세무컨설팅 대표세무사
ㆍ국세청 32년 근무, 국세청조사국, 서울지방국세청 조사1, 2, 3, 4국 16년 근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