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이 3일부터 동영상 중간광고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동영상 중간광고 허용으로 역량 있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기업들이 수익창출이 가능해지면서 양질의 콘텐츠 제작에 긍정적인 원동력이 되고, 이용자와의 활발한 소통이 가능할 것이란 기대다.

개편안 주요 내용은?
“최소 3분 이상의 동영상에 이용자 1분 이상 시청할 경우에만 중간광고 나타나”
“중간광고 서비스 사용 여부 절차 밟는 등 자격요건 갖춰야만 사용할 수 있어”
동영상 중간광고는 지난 8월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5개국에서 시작됐다. 지난달에는 아시아에서도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고, 이날 우리나라를 포함한 인도네시아, 베트남에 중간광고를 적용했다.
다만 모든 동영상에 적용되지는 않는다. 이용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최소 3분 이상의 동영상에 한해 이용자가 1분 이상 시청하는 경우에만 광고가 나타난다.
동영상 중간광고 서비스의 이용을 원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은 우선 애드브레이크공식홈페이지, 페이스북크리에이터스튜디오, 혹은 자신의 페이지 동영상 인사이트 메뉴를 통해 가입 후 해당 서비스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크리에이터들은 바로 동영상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아직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 팔로워, 동영상 뷰 등 수익화자격기준(Monetization Eligibility Standard)을 직접 검토해 자격요건에 맞게 관련 항목들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대량의 동영상을 페이지에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도 함께 제공해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박상현 페이스북코리아 부장은 “양질의 콘텐츠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생태계가 페이스북이 지향하는 가치”라며 “이번 출시로 우리나라 크리에이터들이 이용자에게 더욱 유의미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통해 전 세계 이용자들과 더욱 활발하게 교류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밖의 사항은?
“유튜브, 지난 2007년부터 수익 배분 시스템 도입하면서 동영상 콘텐츠 경쟁력 입혀”
“영국 유튜버 다니엘 미들턴, 연봉 약 184억 원 올리며 세계 최대 수익 유튜브 등극”
한편 유튜브는 지난 2007년부터 동영상 콘텐츠에 광고를 붙이고 이에 대한 수익을 나누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동영상 제작자인 유튜버에게 수익을 안겨주는 것이 양질의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된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후로 전문 동영상 제작 유튜버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고, 광고 수익을 다시 양질의 콘텐츠 제작에 투자하는 흐름이 이어져 많은 이들이 유튜버로 몰리게 하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현재 유튜브는 광고 수익 배분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진 않았지만 통상 유튜브와 유튜버가 45 대 55 수준으로 나누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튜버는 자신의 채널에 기업 제품 등의 홍보 콘텐츠를 방영해 부가적인 광고 수입을 챙길 수도 있다. 인기 유튜버의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수익을 극대화, 연봉이 10억 원을 훌쩍 뛰어넘는 경우도 있다.
게임 방송으로 잘 알려진 영국 유튜버 다니엘 미들턴의 경우 지난해 1650만 달러(약 184억 원)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추산돼 세계 최대 수입을 올린 유튜버에 이름을 올렸다.
이러한 수익 구조에 기반해 유튜버들을 양산하면서 현재 유튜브에는 1분에 300시간 분량의 동영상이 업로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수익 배분 구조는 유튜브를 동영상 콘텐츠 왕국으로 만든 핵심 원동력으로 작용하면서 이번 페이스북처럼 주요 플랫폼들의 ‘유튜브 따라가기’를 만드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