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지난해 가전사업의 높은 실적에도 불구하고 모바일사업의 부진에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31일 LG전자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61조3417억 원, 영업이익 2조7033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전년 61조3963억 원과 유사한 수준인 61조3417억 원을, 영업이익은 전년 2조4685억 원보다 9.5% 증가한 2조7033억 원입니다.
LG전자는 LG시그니처, 올레드TV 등 프리미엄 가전 제품의 비중을 높인 점과 판매 활성화가 영업이익 성장을 이끌었다고 평가했습니다.
세부적으로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사업본부는 글로벌 프리미엄 시장에서 선전하며 매출 19조3620억 원, 영업이익 1조5248억 원, 영업이익률 7.9%을 기록해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습니다. HE(Home Entertainment)사업본부도 영업이익 1조5185억 원과 영업이익률 9.4%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에 따라 H&A사업본부와 HE사업본부를 합친 가전사업은 영업이익은 3조 원을 뛰어넘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역대 최고치인 8.6%입니다.

다만 지난해 4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은 15조7723억 원으로 전년 대비 7.0% 줄어들었습니다. 영업이익은 79.4% 폭락한 757억 원을, 당기순손실은 807억 원으로 적자전환했습니다.
4분기 사업부문 실적은 H&A사업부분만 좋은 실적을 보였습니다. H&A사업본부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4조3279억 원으로 역대 4분기 중 가장 높았습니다.
중남미, 중동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의 환율 약세와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한국, 유럽, 아시아 등에서 선전하며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는 설명입니다. 영업이익은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와 원가 절감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6.8% 늘어난 1048억 원입니다.
HE사업본부 매출액은 신흥시장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감소한 4조5572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전 분기와 비교하면 연말 성수기 영향에 따라 22.8% 늘어난 수준이라며 선방했다는 해석입니다. 영업이익은 2091억 원으로 성수기 경쟁심화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와 중남미 시장의 환율 악화로 전년 동기 대비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LG전자의 ‘아픈 손가락’인 MC(모바일커뮤니케이션)사업본부는 매출액 1조7082억 원, 영업손실 322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수년 간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으나 뚜렷한 해법 마련에 나서지 못하면서 LG전자 전체 실적에 부담을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LG전자 측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침체와 마케팅 비용 증가 등이 영향을 끼쳤지만 플랫폼화 및 모듈화 전략, 원가절감 등을 통한 사업구조 개선은 지속되고 있다”며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수요 감소와 판매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나 LG전자는 북미, 한국 등 주요 사업자 시장에서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하겠다”고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아울러 “새롭게 열리는 5G 시장에서 완성도 높고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적기에 출시해 시장을 선점하고 스마트폰 사업의 새로운 기회로 활용할 것”이라며 “플랫폼화 및 모듈화 전략에 기반한 원가 효율화를 통해 손익 개선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