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BC뉴스] 중소벤처기업부가 설 특판으로 판매된 온누리상품권이 금값 상승을 부추겼다는 지적에 대해 반박했다. 중기부는 온누리상품권이 금값 폭등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은 과장된 것이라고 18일 밝혔다.
올해 설 명절 전후 한 달간 중기부는 디지털 상품권 할인율을 15%로 한시적으로 상향하고, 디지털 상품권 결제액의 15%를 환급하는 등 '빅4 이벤트'를 실시했다. 이 기간 온누리상품권의 판매액은 1조26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9.6% 증가했다.
그러나 금값이 상승하면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인 금은방에서 금을 사재기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대해 중기부는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중 시계·귀금속소매업자 1,426곳의 설 특판 기간 회수액이 62억원에 불과해 금값 폭등을 부추길 만한 수준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금 거래대금은 약 4,678억원이었고, 시계·귀금속 소매업 가맹점의 회수액은 거래대금의 1.3%에 불과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온누리상품권이 금값 폭등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가맹점이 금 외에도 보석, 시계 등을 판매하고 있어 전체 회수액을 금 판매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김성섭 중기부 차관은 "전통시장이나 동네상점가에 있는 금은방은 대규모로 운영되지 않는다"며, 필요한 경우 관계기관과 협력해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지방청 및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함께 귀금속 가맹점의 매출 실적을 조사하고, 온누리상품권 회수액이 과도하게 증가할 경우 필요한 조치를 검토할 계획이다.
(기사발신지=연합뉴스)
▮ CBC뉴스ㅣCBCNEWS 하영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