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이 사생활 침해 논란에 휩싸였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이 위치추적 기능을 원치 않더라도 이들의 위치정보를 자동 저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13일(현지시간) AP통신은 이같은 사실을 보도하면서 프린스턴대 컴퓨터공학 연구자들이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에서 위치 기록을 차단해도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구글은 사용자들이 구글맵스를 사용하게 되면 위치정보를 수집해도 되겠냐는 사용자 동의를 얻는다. 시간을 두고 위치정보를 기록하도록 동의한다면 구글맵스는 타임라인을 통해 일일 이동명세를 보여준다. 분 단위로 누가 어디에 갔는지 이동 내용을 기록해 저장하는 것이다. 경찰들도 이 정보를 이용해 범죄 용의자를 체포하기도 했다.
나중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생활 침해라는 논란이 일었고 구글은 사용자 이동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기록’(Location History) 기능을 끌 수 있도록 조치했다. 위치기록을 끄면 더 이상 사용자에 대한 이동정보를 기록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구글의 이러한 설명은 거짓말로 들통이 나고 말았다. 위치기록을 중단해도 몇몇 다른 구글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시간이 찍힌 위치 자료를 사용자 동의를 얻지도 않고선 자동 저장하고 있다.
예컨대 구글맵스를 실행시키면 안드로이드폰의 경우 자동 일기예보를 갱신할 때 위치를 저장한다. 위치와 아무 관계가 없는 검색을 할 때도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자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AP통신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20억 명과 구글맵스와 검색을 이용하는 수천만 명의 아이폰 이용자가 위치정보를 고스란히 노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 수석 기술자를 역임한 미국 프린스턴대 컴퓨터공학자 조너선 메이어는 “사용자가 원치 않음에도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됐다”며 “위치기록을 끄면 모든 위치정보는 사라지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AP통신은 구글에 이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성명을 보냈고 구글 측은 “위치 이력이나 앱 활동, 기기 단위 위치 서비스 등 구글은 이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며 “구글은 이런 도구들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이 원하면 언제라도 기록을 지울 수 있다”고 관련 문제에 대해 부인했다.
AP통신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구글 계정(myactivity.google.com)에 들어가 위치기록을 지우는 게 가능하지만 매우 번거로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구글에 비판적인 이들은 구글이 광고수익을 올리고자 사용자들의 위치기록 수집에 나선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광고기술업체인 디스틸러리의 지형공간정보학 수석 애널리스트인 피터 렌스는 “구글이 자료를 이용해 광고정보를 구축한다”며 “자료가 많을수록 수익이 커진다”고 밝혔다.
미국 IT 전문 매체 씨넷 역시 구글의 위치정보 자동 저장을 지적했다. 8700만 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페이스북 사례를 예로 들며 이번 사태가 최근 불거진 개인 정보 유출건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단면이라는 해석이다.
씨넷은 “사용자들이 IT 회사들에게 데이터 사용에 동의할 때도 정확하게 어떤 부분에 동의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구글은 사용자들에게 혼란스러운 방식을 제시하면서 데이터를 추적하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