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BC뉴스] 최근 정치권 일각에서 기초지자체의 행정구역이 실제 생활권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는 이유로 김포 등 서울 근접 중소 도시를 서울특별시에 편입하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이와 관련된 국민 의견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먼저 김포 등 서울 근접 중소 도시를 서울특별시에 편입하는 것에 대해, ‘반대한다’는 응답이 58.6%, ‘찬성한다’는 응답은 31.5%로 조사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0.0%였다.
지역별로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반대 의견이 찬성 의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주요 관심지인 인천/경기와 서울에서 반대 의견이 각 65.8%, 60.6%로 찬성 의견(인천/경기 23.7%, 서울 32.6%)보다 많았고, 대전/충청/세종(반대 67.5% vs 찬성 25.5%), 부산/울산/경남(반대 52.9% vs 찬성 41.1%), 광주/전남/전북(반대 45.3% vs 찬성 34.5%) 역시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 대구/경북에서는 두 의견(반대 45.7% vs 찬성 44.3%)이 비슷한 것으로 조사됐다.
70세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연령대에서 반대 의견이 과반으로 나타났고, 만18~29세(반대 74.5% vs 찬성 21.7%)에서는 70%를 상회해 다른 연령대 대비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 진보층과 중도층에서는 반대 의견이, 보수층에서는 찬성 의견이 더 많았다. 직업별로는 무직/은퇴/기타를 제외한 나머지 직업군 모두 반대 의견이 찬성 의견 보다 많은 가운데, 특히 판매/생산/노무/서비스직군(반대 69.9% vs 찬성 26.7%)에서 가장 많았다.
해당 정책을 추진할 적합한 주체로 ‘경기도나 서울시’가 가장 적합하다는 응답의 비율이 33.6%로 가장 높았다. 이어 ‘김포 등 서울 근접 기초 단체’(20.2%), ‘중앙정부’(13.2%), ‘국회나 정치권’(12.6%)의 순으로 집계됐다. ‘기타 또는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0.4%였다. 세부 응답 계층별로 서울 지역에서는 ‘경기도나 서울시’가 적합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인천/경기 지역에서는 ‘경기도나 서울시’(24.7%)와 ‘서울 근접 기초 단체’(24.5%)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해당 정책의 추진 배경에 대해서는, ‘정치적 이해에 따른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10명 중 6명에 가까운 58.8%로 나타났고, ‘해당 지역 주민의 필요에 따른 것’이라는 응답 비율은 27.3%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3.9%였다.
이 조사는 의뢰사가 에너지경제신문이며 조사기관은 리얼미터이다. 무선(96%)·유선(4%)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23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스타 인기투표. 국민 투표앱 '네티즌 어워즈'에서 확인하세요
▮ CBC뉴스ㅣCBCNEWS 심우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