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우 대표 "디지털자산 산업은 '성장의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다"
디지털 금융 혁신 등 필요성도 강조
[CBC뉴스] 두나무가 16일 한국경제법학회, 서울대학교 한국경제혁신센터와 함께 서울 여의도 소재 콘래드서울에서 'DCON 2023: 건전한 시장 조성을 위한 디지털자산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DCON 2023에서 "디지털자산을 활용한 다양한 도전이 계속되고 있다. 많은 시행착오 속에서도 디지털자산 산업은 '성장의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DCON은 디지털자산 컨퍼런스(Digital asset Conference)의 약자로, 디지털자산을 연구하는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들이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모색하는 학술 행사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는 컨퍼런스로, 현장에는 약 400명이 참가했다. 두나무는 자사 메타버스 플랫폼 '세컨블록'을 통해 행사를 온라인 생중계하기도 했다.
이석우 대표는 "디지털자산 산업의 역사는 곧 '극복의 역사' 였다. 비트코인 탄생 이래 디지털자산을 향한 의심과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아직 이러한 부정적 시각이 사라졌다고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디지털자산 산업은 이를 이겨내고 계속 발전해 왔다"고 말했다.
아울러 "디지털자산 산업의 성장은 다양한 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 라는 혁신을 통해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열었고, DeFi, NFT 등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냈다는 것이다. 또 DAO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조직이나, 서비스 참여자들이 수익을 공유하는 개념인 Web3도 블록체인에서부터 비롯됐다는 설명이다.
그는 "우리에게 남은 숙제는 디지털자산 산업을 우리 사회가 어떻게 포용하고 성장시키느냐 하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현재 EU와 미국 등 주요국들이 디지털자산 산업을 제도화하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이 대표는 '글로벌한 제도화 흐름'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16일 열린 DCON 2023에서 발표하고 있다. [단박에 - CBC뉴스 | CBCNEWS]](/news/photo/202303/439001_245986_1244.jpeg)
이석우 대표는 또 "디지털자산은 국경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거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시장과 구별된다"며 "따라서 기존의 시장을 바라보는 것과는 다른 시각으로 디지털자산 시장을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IEO에 대한 논의와 토큰 증권 시장에서도 혁신성있는 블록체인 기업들의 활발한 참여 유도를 통한 디지털 금융 혁신 등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이상승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김병연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등 국내 석학들이 참여해 '가상자산 시장의 거래 특성과 시장 획정', '디지털자산 초기 거래소 공개(IEO)에 관한 합리적인 규제 연구', '토큰증권 발행(STO)·유통 제도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을 제시했다.
▶한번에 끝 - 단박제보
▶'내 스타'에 투표하세요 '네티즌 어워즈'
CBC뉴스ㅣCBCNEWS 권오성 기자 kos@cbc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