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한국기업평판연구소. [단박에 - CBC뉴스 | CBCNEWS]](/news/photo/202304/439885_247197_1756.jpg)
[CBC뉴스]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4월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2위 셀트리온 3위 셀트리온헬스케어 순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3년 3월 17일부터 2023년 4월 17일까지의 135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3,481,910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 분석을 했다. 지난 3월 브랜드 빅데이터 60,505,191개와 비교하면 4.92%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를 측정할 수 있다. 브랜드의 마케팅 시장지표 분석과 정성평가를 포함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3년 4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제약, HLB, 한미약품, 유한양행, SK바이오팜, 녹십자, 한미사이언스, 대웅제약, 삼천당제약, 대웅, 일동제약, 종근당, 박셀바이오, 에스티팜, 신풍제약, 보령제약, 동국제약, HK이노엔, HLB생명과학, 한올바이오파마, 부광약품, 동화약품, 영진약품, 삼일제약, 제일약품, 대원제약 순으로 분석됐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260,199 소통지수 163,698 커뮤니티지수 277,122 시장지수 11,594,00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295,027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12,169,424와 비교해보면 1.03% 상승했다.
2위, 셀트리온 브랜드는 참여지수 1,448,445 소통지수 540,059 커뮤니티지수 953,088 시장지수 4,545,05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486,650으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6,767,021과 비교해보면 10.63% 상승했다.
3위, 셀트리온헬스케어 브랜드는 참여지수 687,051 소통지수 223,050 커뮤니티지수 358,837 시장지수 2,014,27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283,210으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2,782,919와 비교해보면 17.98% 상승했다.
4위, SK바이오사이언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414,948 소통지수 138,402 커뮤니티지수 309,431 시장지수 1,142,01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004,798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1,959,722와 비교해보면 2.30% 상승했다.
5위, 셀트리온제약 브랜드는 참여지수 486,147 소통지수 149,644 커뮤니티지수 424,881 시장지수 640,98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701,655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1,114,927과 비교해보면 52.62%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4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삼성바이오로직스 ( 대표 존림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3월 브랜드 빅데이터 60,505,191개와 비교하면 4.92%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23.88% 상승, 브랜드소통 8.54% 상승, 브랜드확산 4.10% 하락, 브랜드시장 3.64%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편 2023년 4월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제약, HLB, 한미약품, 유한양행, SK바이오팜, 녹십자, 한미사이언스, 대웅제약, 삼천당제약, 대웅, 일동제약, 종근당, 박셀바이오, 에스티팜, 신풍제약, 보령제약, 동국제약, HK이노엔, HLB생명과학, 한올바이오파마, 부광약품, 동화약품, 영진약품, 삼일제약, 제일약품, 대원제약, 일양약품, 하나제약, 휴온스, 바이오플러스, 비보존제약, 광동제약, 삼성제약, 현대약품, 프롬바이오, 화일약품, JW중외제약, 한독, 코미팜, 한국파마,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동아에스티, 동구바이오제약, 코오롱생명과학,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메드팩토, 유나이티드제약, 종근당바이오, 동성제약, 경보제약, 삼진제약, 콜마비앤에이치, 아이큐어, 경남제약, HLB제약, 씨티씨바이오, 바이넥스, 명문제약, 이연제약, 제일바이오, 지놈앤컴퍼니, 국제약품, 압타바이오, 네오이뮨텍, 일성신약, 차백신연구소, 휴온스글로벌, 경동제약, 안트로젠, 이수앱지스, 조아제약, 엔지켐생명과학, CMG제약, 국전약품, 대화제약, 뉴트리, JW신약, HLB테라퓨틱스, JW생명과학, 신일제약, 카이노스메드, 티움바이오, 유유제약, 휴메딕스, 환인제약, 테라젠이텍스, 휴럼, 안국약품, 녹십자웰빙, 에이비온, 큐라클, 퓨쳐켐, 비씨월드제약, 에스씨엠생명과학, 노바렉스, 서울제약, 진바이오텍, 한국유니온제약, 삼아제약, 대한뉴팜, 바이젠셀, 중앙백신, 아미노로직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위더스제약, 하이텍팜, 비피도, 대한약품, 신신제약, 팜젠사이언스, 비엘팜텍, 진양제약, 에스텍파마, 알리코제약, 에이치엘사이언스, 대성미생물, 고려제약, 초록뱀헬스케어, KPX생명과학, 코스맥스엔비티, 대봉엘에스, 지트리비앤티, 우진비앤지, 코스맥스비티아이, 씨케이에이치, 에이디엠코리아, 팜스빌, 드림씨아이에스, 더블유에스아이, 씨엔알리서치, 에이프로젠H&G 이다.
▶한번에 끝 - 단박제보
▶'내 스타'에 투표하세요 '네티즌 어워즈'
CBC뉴스ㅣCBCNEWS 권오성 기자 kos@cbc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