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BC뉴스] 네이버, 카카오, 그리고 통신 3사가 4일 예정된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에 대비해 대규모 트래픽 폭증에 대한 비상 체제를 가동했다. 이들은 주요 서비스의 트래픽 가용량을 평상시 대비 3∼10배로 늘리고, 서비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이번 선고에 대비해 뉴스, 메인 페이지, 카페, 카카오톡 등 주요 서비스의 이용량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트래픽 가용량을 대폭 확충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트래픽 급증에 대비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사전 점검을 통해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당시 네이버 카페 등에서 접속 장애가 발생한 전례에 따라 철저히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
카카오는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서버 및 인프라를 확충했다. 또한, 트래픽 변동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비상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한편,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탄핵 선고일 대규모 찬반 집회로 인한 통신량 급증에 대비해 이동기지국을 추가 배치하고, 현장 인력의 안전을 경찰청과 협의 중이다. SK텔레콤은 집회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기존 장비를 최적화했고, KT는 인구 밀집 예상 지역의 통신망 점검을 완료했다. LG유플러스 역시 수시로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며 특이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당, 헌법재판소, 정부 기관에 대한 해킹이나 디도스(분산서비스 거부) 공격 가능성에 대비해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 중이다. 포털 사이트에서는 탄핵 심판 관련 뉴스와 언론사 라이브 뉴스를 모아놓은 특별 페이지가 운영되며, 네이버와 다음에서는 생중계 링크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비는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임박함에 따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가 서비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총력전에 나섰음을 보여준다. 각 포털과 통신사, 그리고 정부 기관들은 이번 사태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으며, 관련 업계 관계자는 "대응 수준이 상당히 높아졌다"고 전했다.
★ 네티즌 어워즈 투표하러 가기 ▶
★ 실시간 뉴스속보 - CBC뉴스 텔레그램 ▶
★ CBC뉴스 - gonewsi로 전 세계 타전 ▶
▮ CBC뉴스ㅣCBCNEWS 허연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