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 감소, 중저가 아파트 거래 축소 추세

[CBC뉴스]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똘똘한 한 채'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지난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 중 15억 원을 초과하는 고가 아파트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만8천33건 중 23.8%가 15억 원을 넘는 거래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하반기 13.7%였던 것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반면, 6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는 20.4%로, 2022년 하반기의 46.3%에 비해 절반 이상 감소했다. 이러한 현상은 수도권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수도권 아파트 거래 9만9천634건 중 15억 원 초과 거래는 7.8%로, 2022년 하반기의 2.5%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동안 6억 원 이하 거래는 78.5%에서 56.3%로 축소됐다.

서울의 가격대별 거래 비중을 보면, 6억 원 초과∼9억 원 이하가 25.3%, 9억 원 초과∼12억 원 이하가 18.8%, 12억 원 초과∼15억 원 이하가 11.8%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각각 22.1%, 8.9%, 4.8%를 기록했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2022∼2023년 주택경기 침체로 수도권 집값이 약세를 보이며 중저가 아파트 위주로 거래가 이뤄졌으나, 지난해에는 서울 강남 3구와 경기 성남, 과천 등지의 15억 원 초과 아파트로 거래가 집중됐다"고 분석했다. 또한, 서울 강남권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 대형 단지들의 거래 제한이 풀리면서 15억 원 초과 아파트의 매매 비중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기사발신지=연합뉴스)
▮ CBC뉴스ㅣCBCNEWS 허연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