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TV 제공]
[CBC뉴스] 애플과 삼성전자를 포함한 주요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 관세로 인해 큰 충격을 받고 있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이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중국에 대한 상호 관세율은 34%로, 애플은 자사 스마트폰의 90%를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애플 제품에 54%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이는 기존의 20% 관세에 34%가 더해진 수치로, 애플 주가는 뉴욕 증시 마감 후 시간 외 거래에서 7.54% 폭락했다.
삼성전자는 상황이 조금 다르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 삼성 스마트폰의 생산지는 베트남, 인도, 브라질, 한국, 인도네시아 등으로 다변화되어 있지만,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율은 46%에 이른다. 인도는 26%, 브라질은 10%, 한국은 25%로 책정됐으나, 모두 갑작스러운 인상으로 인해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삼성전자는 지난해 스마트폰 출하량의 22%를 중국 등 공장에 외주 생산하는 ODM 방식으로 생산했으며, 이들 제품은 중국에 부과되는 54% 관세율 대상이 된다. 다만, 이 ODM 제품은 중저가 모델인 갤럭시 M 및 A 시리즈가 대부분으로, 미국 시장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관세로 인해 애플과 삼성전자는 미국 시장에서 제품 가격 인상을 고려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국내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국내 통신업계 관계자는 "아직 미국 상호관세 부과가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는 이번 상호관세 부과 전 보고서에서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하며, "경기 변동, 미국 관세 및 규정 준수 요건이 시장 역학 관계에 예측 불가능성을 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국내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이번 관세 부과를 계기로 글로벌 생산 전략을 재검토하는 등 대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스마트폰 제조업계에 구조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 네티즌 어워즈 투표하러 가기 ▶
★ 실시간 뉴스속보 - CBC뉴스 텔레그램 ▶
★ CBC뉴스 - gonewsi로 전 세계 타전 ▶
▮ CBC뉴스ㅣCBCNEWS 한종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