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운영

[CBC뉴스] 서울디자인재단이 서울새활용플라자의 교육 및 체험 기능을 강화하며, 시민들에게 제로웨이스트 문화를 더욱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23일 발표했다. 서울새활용플라자는 2017년 9월 성동구 용답동에 문을 연 이래, 재활용 재료의 기증 및 수거부터 가공, 제품 생산 및 판매까지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지난해에는 11만 명이 방문하며 제로웨이스트 문화 확산에 기여했다.
올해 서울디자인재단은 서울시와 협력해 "서울에 버려지는 장난감은 없다"는 슬로건 아래 장난감 수리소를 개관한다. 이곳에서는 버려진 장난감을 회수하고 수리 및 새활용하는 과정을 어린이와 시민들에게 소개해 자원순환에 대한 인식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장난감 수리 과정에서 시니어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재단은 또한, '서울제로마켓'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일회용품 사용을 줄인 매장에 사업비를 지급하고 온라인으로 홍보해주는 사업을 추진한다. 신규 제로웨이스트 매장뿐만 아니라, 제로웨이스트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과 기존 매장도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한편, 매년 개최해온 '제로웨이스트 페스티벌'은 올해부터 연 2회로 확대된다. 지구의 날(4월 22일)과 어린이날(5월 5일)을 기념해 지구의 가치를 되새기는 '나만의 행성' 행사를 열고, 가을에는 대학생 및 청년 디자이너들과 함께 제로웨이스트 의상을 선보이는 패션쇼와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서울디자인재단은 연간 2만여 명의 참여를 목표로 '제로웨이스트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민간 기업들과 협력해 폐장난감과 폐보일러 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새활용 작품 전시도 추진할 계획이다. 차강희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는 "서울새활용플라자는 자원순환 공간을 넘어 디자인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곳"이라며, "다양한 교육과 체험 기회를 제공해 시민이 일상에서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기사발신지=연합뉴스)
▮ CBC뉴스ㅣCBCNEWS 한종구 기자